320x100

최근 유튜브에서 본 미아자키 대표님과의 운명적 만남을 다룬 영상은 저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습니다. 이 영상에서는 주인공이 2019년 크로아티아에서 미아자키 대표님의 강연을 우연히 발견하고, "죽도 밥도 안 될지 모르겠지만 일단 가자"는 마음으로 여행을 결심하는 과정이 담겨 있었습니다. 강연 당일, 정승우 팀장 이른 시간에 강연장에 도착해 혼자 계신 미아자키 대표님을 발견하게 되고, 이 순간을 천운으로 여기며 편지를 전달하기로 결심합니다. 이처럼 예상치 못한 기회를 포착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닫게 해준 장면이었습니다.

 

특히 지스타와 같은 행사에서 게임 산업의 대표 관계자들을 모시는 것은 필수적입니다. 이들은 게임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그들의 참여가 산업의 발전과 협력을 이끌어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인물들과의 소통은 새로운 아이디어와 기회를 창출하고, 업계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발판이 될 것입니다. 모금 활동에서도 이와 같은 관계 형성이 필수적이며, 이를 통해 더 나은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유튜브에서 정승우 팀장이 이야기하고 있는 모습
출처 : 발더스게이트3 디렉터에게 손편지를 썼더니 일어난 일

1. 우연(혹은 우연을 가장한) 만남의 기회

영상에서 정승우 팀장은 미아자키 대표님을 만나기 위해 여러 번 고민한 끝에 크로아티아로 떠나는 결정을 내립니다. 이 과정에서 그는 단순히 유명한 인물을 만나고 싶어 하는 것이 아니라, 그와의 만남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지식과 경험의 가치를 깨닫게 됩니다. 초청하고 싶은 연사가 모이면 어떻게든 직접 얼굴을 보이며, 그들에게 집적 '당신을 초청하기 위해 왔다'는 메세지를 전하며, 편지를 전달합니다. 그리고 다른 팬들과 만나고 있는 연사들과 직접 이야기하기 위해 50분동안 인파속에서 기다리기도 했습니다. 

 

이는 모금 활동에서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기부자나 후원자와의 만남은 단순한 자금 지원을 넘어서, 그들의 경험과 네트워크를 활용해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회를 포착하고 실행에 옮기는 것은 모금의 성공에 중요한 요소입니다.

 


2. 강연장에서의 운명적 만남

정승우 팀장이 강연장에 도착했을 때, 혼자 계신 미아자키 대표님을 발견하는 장면은 매우 상징적입니다. 이 순간, 그는 "천운"이라고 생각하며 편지를 전달하기로 결심합니다. 이처럼 예기치 않은 상황에서 기회를 잡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느끼게 됩니다. 바로 답변을 주지 않고 '생각할 시간을 달라'라고 답변을 받았지만, 오히려 정승우 팀장은 연락할 수 있는 채녈을 확보했다라는 긍정적인 신호로 받아들였습니다.

 

모금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예상치 못한 만남이 기부자와의 관계를 형성하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강연이나 행사에서 만남을 통해 자연스럽게 대화를 나누고, 관계를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유튜브에서 정승우 팀장이 이야기를 하고 있는 모습
출처 : 발더스게이트3 디렉터에게 손편지를 썼더니 일어난 일


3. 편지의 힘

정승우 팀장이 미아자키 대표님에게 편지를 전달하는 장면은 진정한 소통의 힘을 보여줍니다. 편지는 단순한 메시지를 넘어 상대방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고, 감정을 전달하는 중요한 수단이 됩니다. 같은 내용을 복붙하지 않고, 상대방에 맞춰서 편지를 내용을 작성하기 때문에, 게임 업계에서 정승우 팀장은 '저분 편지 드리는 분이다'라를 이미지를 갖게 되었습니다.

 

이는 모금 활동에서도 큰 역할을 합니다. 진정성을 담은 편지나 메시지는 기부자에게 신뢰를 줄 수 있으며, 관계를 더욱 견고하게 만들어줍니다. 특히, 한국에서는 손편지가 드물기 때문에, 개인적인 터치를 더한 소통 방식이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낼 가능성이 높습니다.

 


4. 소통의 중요성

정승우 팀장이 연사 섭외의 어려움을 이야기하는 장면은 많은 이들에게 공감될 만한 부분입니다. 많은 연사들은 금전적인 유인에 의해 움직이지 않으며, 그들의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소통이 필수적입니다. 강연 연사로 모시는 걸로 끝나지 않습니다. 오히려 먼저 연사에다양한 제안을 받는 연사들의 마음을 끌기 위해 '킥'이 있는 강연 주제를 제안을 합니다. 그리고 그 주제를 찾기 위해 다양한 인사이트를 찾고, 직접 게임을 하는 '관심'을 보여줍니다.

 

모금 활동에서도 잠재적인 기부자와의 소통이 중요합니다. 기부자에게 그들의 기여가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설명하고, 그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신뢰를 쌓는 데 도움이 됩니다. 소통을 통해 기부자와의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5. 편지 작성의 전략

정승우 팀장이 연간 약 10명에게 편지를 전달하는 전략은 매우 효과적입니다. 편지의 내용은 구체적이고 진정성이 담겨 있어, 상대방에게 좋은 인상을 남깁니다. 정승우 팀장은 편지를 직접 수기로 쓰고, 설령 마지막에 글자를 잘 못 쓰더라고 처음부터 다시 쓰는 집념의 노력을 보여줍니다. 언제나 편지지를 들고 다니며 필요하다고 생각하면 그 자리에서 바로 편지를 작성해서 중요한 연사를 섭외에 성공하기도 했습니다. 편지지의 색도 회사 로고 색과 맞추는 치밀한 전략도 세웁니다. 

 

이는 모금 활동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전략입니다. 기부자에게 맞춤형 메시지를 작성하고, 그들이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를 반영함으로써, 더 깊은 관계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편지를 통해 기부자에게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그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6. 지스타의 미래와 모금의 방향

영상에서 지스타의 비전과 성장 과정이 다루어졌습니다. 기존에 무료로 진행하던 컨퍼런스의 관심이 너무 낮자, 오히려 유료로 전환하여 충성 고객의 비율을 늘리는 전략, 게임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더라도 인사이트를 줄 수 있는 다른 산업분야의 전문가들을 초청하는 다양한 변화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지스타가 게임 문화 축제로 자리 잡기를 원하는 목표는 모금 활동에서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지속적인 발전과 목표 설정은 모든 분야에서 중요합니다. 참가자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그들의 니즈를 고려하여 접근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모금 활동에서도 기부자들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더 나은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입니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지속 가능한 관계를 형성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참고 자료

1. 발더스게이트3 디렉터에게 손편지를 썻더니 일어난 일(중년게이머 김실장 유튜브)

https://youtu.be/dXj6FrMab3w?t=48

 

2. Charity Navigator의 손편지 캠페인

https://www.lettrlabs.com/case-study/charitynavigatorfundraising

 

Fundraising Case Study

LettrLabs fundraising case study demonstrating the 52x ROI Charity Navigator received with our handwritten fundraising cards!

www.lettrlabs.com

 

3. Adhyayan의 기부자 관계 관리

https://idronline.org/article/fundraising-and-communications/case-study-everything-you-need-to-know-to-fundraise-successfully/

 

Case study: Everything you need to know to fundraise successfully

Fundraising, as everyone in the social sector will tell you, is key to an organisation’s growth. A nonprofit can only create long-term change if it has

idronline.org

 

 

320x100
320x100

 

알고리즘 A : 이 단체를 안다 → 긍정적인 방향으로 안다 → 정기후원 참여를 고민해 본다 → 지금 참여할 시간이 있다 → 금전적 여유가 있다 → 지금 참여한다

 

알고리즘 B : 이 단체를 안다 → 긍정적인 방향으로 안다 → 후원에 대해 고민한다 → 지금 참여할 시간이 있다 → 금전적인 여유가 없다 → 듣기만 한다

 

알고리즘 C : 이 단체를 모른다 → 호기심이 생긴다 → 후원에 대해 고민한다 → 지금 참여할 시간이 없다 → 인터넷으로 더 알아보고 할게요

 

알고리즘 D : 이 단체를 모른다 → 호기심이 생긴다 → 지금 시간이 없다 → 나중에 듣는다

 

알고리즘 E : 이 단체를 모른다 → 호기심이 안 생긴다 → 그냥 지나간다

 

 

3년간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정기후원 참여 요청을 받은 시민들의 반응 알고리즘

 

 

거리 캠페인의 의미와 참여 계기

 

행복한 햄스터 가족

 

거리에서 진행되는 캠페인은 단순한 후원 요청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2년이 넘는 시간 동안 개인적으로 참여자들에게 후원을 결심한 계기를 물으며, 그들의 이야기를 통해 다양한 인간 군상과 사회적 배경을 엿볼 수 있었다. "행복한 가정은 모두 엇비슷하고, 불행한 가정은 각자의 이유로 불행하다"는 톨스토이의 말처럼, 후원에 참여하는 이유는 다양하지만, 참여하지 않는 이유는 비교적 비슷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과정에서 후원 요청에 대한 피로도가 높아지는 현시점에서도 사람들이 참여하는 동기에 대해 깊이 있게 탐색해 보는 시간을 가졌다.

 

거리에서 후원을 결정하는 이유 Top 6

첫 월급을 받은 햄스터가 전한 후원의 마음

 

거리에서 만나는 사람들이 후원을 결정하는 이유는 다양하지만, 몇 가지 주요 이유를 꼽아보면, 한 번쯤은 해보고 싶은 마음, 아는 사람 중에 관련된 사람이 있어서, 종교적인 이유, 단순히 그냥, 관련 업에 종사해서, 그리고 그 단체를 알고 있어서 등이다. 특히 사회 초년생이나 대학생들 사이에서는, 수입이 생기며 ‘한 번쯤은 해보고 싶어서’라는 응답이 자주 나왔다. 또한, 장애와 관련된 가족이나 지인이 있는 경우, 그리고 단체의 활동을 알고 있거나 신뢰하는 경우에 후원 결정이 쉬워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거리에서 후원을 거절하는 이유 Top 6

정기후원신청서를 쓰다 멈칫하는 햄스터

 

반면, 거리에서 후원을 거절하는 이유는 주로 금액 부담, 정기 부담, 신뢰도 문제, 인터넷으로 신청할 계획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이어서 종교문제, 금융정보 부족의 순서였다. 금액 부담은 사람마다 느끼는 기준이 달라, 소액이라도 누군가에게는 큰 부담으로 다가올 수 있다. 또한, 정기 후원의 경우, 단체에 필요한 것이지만 후원자에게는 부담으로 느껴질 수 있다는 점, 신뢰도 문제는 단체에 대한 불신과 후원 자체에 대한 불신으로 나뉘며, 이는 해소하기 어려운 문제로 남아 있다. 인터넷 신청의 경우, 직접 정보를 알아보고 결정하려는 사람이 더 오랫동안 참여한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변화를 만드는 단체의 역할

후원자의 밤

 

결정과 거절은 변화하는 인간의 마음가짐과 같이,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중요한 것은 변화의 계기를 만들고, 그 변화한 마음을 우리 편으로 끌어들이는 시스템을 만드는 단체의 역할이다. 이를 위해서는 단체가 사회적 신뢰를 구축하고, 투명한 활동 보고와 함께, 후원자들에게 그들의 기여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실제로 어떤 변화를 만들어내고 있는지를 보여주어야 한다. 또한, 후원자들이 자신이 기여한 부분에 대해 자부심을 느낄 수 있도록 소통하는 것이 중요하다. 

 

단체는 또한 후원 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찾아야 한다. 예를 들어, 신규 후원자를 위한 환영 이벤트, 후원자들의 소감을 공유하는 SNS 캠페인, 후원자들과의 정기적인 만남이나 온라인 모임을 통해 커뮤니티를 만드는 것 등이 있다. 이런 활동들은 후원자들이 단체와 더 깊이 연결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후원자들 사이에서도 서로 영향을 미치고 격려하는 긍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

 

현장에서 거절이 평생 거절이 아니다

정기후원 신청서를 달라고 하는 햄스터

 

거리 캠페인을 넘어서, 단체는 사회적 이슈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사람들이 사회적 문제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함께 고민하며, 필요한 변화를 위해 행동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거리 캠페인은 사람들이 직접 만나는 대면 활동이기 때문에, 온라인 캠페인과는 다른, 더 직접적이고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다.

 

결국, 거리캠페인의 의미와 참여 계기는 개인적인 관심과 소에서 비롯되지만, 이를 통해 사회적 변화를 추구하는 흐름에 기여할 있다. 각자의 작은 관심과 참여가 모여 사회에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따라서, 거리 캠페인은 단순히 후원을 요청하는 활동을 넘어서, 사회적 인식을 변화시키고, 모두가 함께 나아가는 나은 세상을 만드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있다.

 

 

 

2024.03.24 - [비영리 아카이빙(NPO-Archiving)] - [F2F캠페인 외전] F2F 캠페인의 이면 : 캠페이너 당신은 누구인가?

 

[F2F캠페인 외전] F2F 캠페인의 이면 : 캠페이너 당신은 누구인가?

시민 1 : 아이고, 학생들이 고생이 많네. 아웃소싱 업체 캠페이너 교육 담당자 : 시민분이 어느 소속이냐고 물어보면 공식적으로 OO NGO 단체가, 아니라 후원자 개발 위탁 용역을 맡은 우리 업체 소

npo-archiving.tistory.com

 

320x10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