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복지’라는 첫 로드맵을 잡은 후에는 앞서 기록했던 것처럼, 자유주제 과제는 이 컨셉을 활용했다.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이후 ‘프개평’) 과목은 이 부분에서 가장 독보적으로 활개를 칠 수 있는 과목이었다. 사회복지학과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개인과제’가 메인이기 때문이다. (사회복지학과는 조별과제 매우 많다.)

 

프개평 과목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에 관한 이론+직접 프로그램 개발+발표 3 파트로 나뉜다. 당연 직접 프로그램 개발 부분에 내 노력을 쏟아부었다. 중간고사 기간 이전까지 앞 부분을(평가 이전 부분까지), 이후 기말고사까지 최종 완성이 과제였다. 

 

대상자 : 특정 지역 위치한 장애인
장소 : 서울 성북구
자원 : 성북장애인복지관, 지자체, 성북구 내 박물관, 성북구 내 대학교 사학과
내용 : 성북구 내 장애인들의 문화체험 수준을 높이기 위한 사업

(자료를 찾을 수 없어서, 기억에 의존해서 쓰고 있다.)

 

당시 장애인복지관의 실습과 큐레이터 준비 경험을 토대로 필요성과 사업개요를 작성해나갔다. 아주 술술 잘 써내려졌다. 참고자료도 다양하게 넣었다. 중간고사는 이 과제를 평가하는 것으로 대체했다. 그리고 나는 여기서 유일하게 에이쁠을 받았다. 내 인생 유일 에이쁠이 아닌, 프개평 수업을 받는 학생 중 유일하게 에이쁠. 당시 교수님은 한명씩 불러서 이 점수가 나오는 이유를 설명해주셨다.

 

이유는 다양한 참고자료를 잘 넣었고 + 프로그램 진행 방식이 다른 학생들은 사회복지관을 기반으로 하는(사회복지관에서 할 법한) 사업인데 반해, 내가 만든 프로그램은 외부의 다양한 자원을 협의체처럼 운영하는 방식으로 기획했다는 참신함을 높게 평가해주셨다.

 

기말고사 과제는 ‘중간고사 과제 피드백 반영 + 사업 평가 지표 반영’이 포함된다. 그리고 내가 만든 프로그램을 다른 학생들 앞에서 발표 한다. ppt를 띄어놓고 한명씩 하는 발표가 아니라, 계획서를 그냥 출력해서 각자 벽에 붙인다. 그리고 각자 돌아다니면서 계획서를 보고 궁금한게 있으면 옆에 서 있는 당사자한테 물어보는 식이었다. 마치 건축학과나 미대의 졸업작품 전시회 스타일처럼.

 

그리고 기말고사까지 당당히 에이쁠 획득!

 

학교 성적증명서

 

가고 싶은 길(하고 싶은 일과는 조금 다르다. 하고 싶은 일은 직무와 관련되고, 가고 싶은 길은 분야(=섹터)와 직업관과 관련 된다.)을 찾아내고, 내가 좋아하는 것을 알고, 내가 잘하는 것을 아는 것. 대학교에서 전혀 다른 분야의 복수전공과 외부 교육 등을 받으면서 위의 3가지를 확실히 찾는 좋은 기회였다. 

 

320x100

 

320x10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