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넘버스스틱 75페이지

 

그러나 그중 소수의 사람들은 복잡한 것을 단순하게 만들고 모두가 문제를 이해하게 도움으로써 외려 큰 규모의 일을 해결할 수 있다.

...중략...

구체적이고 명확할수록 더 빨리 이해하고 더 오래 기억할 수 있다. 속담이나 우스갯소리, 민요, 서사시 같은 문화적 산물은 구체적일수록 오래 기억되고 보전될 가능성이 높다. 동시에 많은 입을 거쳐 전달될수록 점점 더 구체적인 모양새를 띠게 된다.(74~75페이지)

넘버스 스틱


실제 책으로 보면 '아!'하고 이해가 바로 될 수 있도록 예시가 매우 정확하다. 하지만 나는 이 책을 내 실제 업무에 적용해보기 위해서서 읽고 있으므로, 훈련이 필요했다. 그래서 옆에 있던 자료를 가지고 직접 연습해보았다.

복지재단 사업보고서

사회복지는 임팩트 측정에 어려움이 있다. 같은 돈을 들여서 건물을 짓는 것과, 아동에게 도움이 되는 금융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의 결과물을 똑같이 놓고 비교하게는 어렵다. 그래서 눈에 보이는 결과물이 나오기 어려운 사업들은 대부분 위에처럼 성과가 아닌 참여한 대상자의 숫자나 투입된 예산을 결과로 제시한다. 하지만 위에 자료처럼 10만명의 아동에게 지원했다는 내용만 봤을 때는, 확 와닿지는 않는다.

우리나라 전체 아동인구의 수는 약 816만명(0~19세 기준)이다. 이 정보를 알고 있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은 '지원아동 10만명'의 느낌이 다를 것이다.

하지만 책의 내용을 토대로 맥락을 살짝 틀어보면 '800만명 중에 10만명 지원'를 '부산광역시 영도구 전체 인구만큼 지원'으로 바꿀 수 있을 것이다. (현재 부산에 살고 있어서, 부산지역을 기준으로 찾아보았다.) 10만명이 작은지 큰지 비교하기 애매하지만, 부산 영도구 전체 주민만큼 지원했다면 결코 적은 느낌은 아니다.

복지재단 사업보고서
복지재단 사업보고서

고액후원자 분들이 약정하신 금액 732억원은, 강남 서초 반포자이펜트하우스 10채 대신, 아동의 복지를 위해 투자한 금액이다.

기초교육접근성개선을 위해 교육비를 지원받은 가정은,

그만큼 교육비 부담이 줄어 1년에 3일을 더 쉴 수 있어, 아이와 함께할 수 있는 시간을 벌었다.

이렇게 단순 지원인원과 금액 뒤에 의미를 찾아가면서, 스토리를 만들어보는 것이 확실히 도움이 되었다. 특히 교육비 부담을 던 것은 단순 학비를 지원해준 것이 아니라, 줄어든 교육비 만큼 양육자가 일을 덜하고, 아동과 함께 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했다는 의미를 만들어내었다. 그냥 몇백억 지원이 끝이 아니라 숨은 의도를 전달할 수 있는 연습을 자주 해야겠다.

 

넘버스스틱 46페이지

숫자가 한 명의 인간이라는 형태를 취하게 되면 그것에 담긴 의미를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다. 우리는 마케팅 부서에서 내놓은 인구통계학적 분석에 공감하지 않는다. 우릭 공감하는 것은 사람이다.

...중략...

프로토타입은 많은 데이터를 구체화할 수 있으며 동시에 숫자로 이뤄진 데이터가 진짜로 존재하는 고객, 즉 우리와 마찬가지로 마트에서 때를 쓰는 아이를 키우는 부모라는 사실을 상기시킨다. 올바른 답을 원한다면 올바른 분석을 해야한다. 하지만 정답을 제세할 때 반드시 그 정답을 얻기 위해 사용한 숫자를 내보일 필요는 없다. 가장 완벽한 숫자 번역에는 수자가 전혀 없는 경우가 많다.(46~47페이지)

넘버스 스틱


나는 지금까지 수많은 제안서를 써오면서, 숫자에 집착했다. 정확한 숫자와 통계만이 올바른 판단을 내릴 수 있다고.

하지만 그건 나만의 착각이었구요. 보는 사람은 내가 아니었다. 이 분야에 나만큼 관심이 없거나, 특정 단위의 숫자에 민감하지 않을 수 있었다.

정확한 숫자가 아니라, 정확한 전달방법이 나에게는 필요했던 것이다. 숫자는 메세지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일 뿐이다.

320x10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