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알고리즘 A : 이 단체를 안다 → 긍정적인 방향으로 안다 → 정기후원 참여를 고민해 본다 → 지금 참여할 시간이 있다 → 금전적 여유가 있다 → 지금 참여한다

 

알고리즘 B : 이 단체를 안다 → 긍정적인 방향으로 안다 → 후원에 대해 고민한다 → 지금 참여할 시간이 있다 → 금전적인 여유가 없다 → 듣기만 한다

 

알고리즘 C : 이 단체를 모른다 → 호기심이 생긴다 → 후원에 대해 고민한다 → 지금 참여할 시간이 없다 → 인터넷으로 더 알아보고 할게요

 

알고리즘 D : 이 단체를 모른다 → 호기심이 생긴다 → 지금 시간이 없다 → 나중에 듣는다

 

알고리즘 E : 이 단체를 모른다 → 호기심이 안 생긴다 → 그냥 지나간다

 

 

3년간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정기후원 참여 요청을 받은 시민들의 반응 알고리즘

 

 

거리 캠페인의 의미와 참여 계기

 

행복한 햄스터 가족

 

거리에서 진행되는 캠페인은 단순한 후원 요청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2년이 넘는 시간 동안 개인적으로 참여자들에게 후원을 결심한 계기를 물으며, 그들의 이야기를 통해 다양한 인간 군상과 사회적 배경을 엿볼 수 있었다. "행복한 가정은 모두 엇비슷하고, 불행한 가정은 각자의 이유로 불행하다"는 톨스토이의 말처럼, 후원에 참여하는 이유는 다양하지만, 참여하지 않는 이유는 비교적 비슷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과정에서 후원 요청에 대한 피로도가 높아지는 현시점에서도 사람들이 참여하는 동기에 대해 깊이 있게 탐색해 보는 시간을 가졌다.

 

거리에서 후원을 결정하는 이유 Top 6

첫 월급을 받은 햄스터가 전한 후원의 마음

 

거리에서 만나는 사람들이 후원을 결정하는 이유는 다양하지만, 몇 가지 주요 이유를 꼽아보면, 한 번쯤은 해보고 싶은 마음, 아는 사람 중에 관련된 사람이 있어서, 종교적인 이유, 단순히 그냥, 관련 업에 종사해서, 그리고 그 단체를 알고 있어서 등이다. 특히 사회 초년생이나 대학생들 사이에서는, 수입이 생기며 ‘한 번쯤은 해보고 싶어서’라는 응답이 자주 나왔다. 또한, 장애와 관련된 가족이나 지인이 있는 경우, 그리고 단체의 활동을 알고 있거나 신뢰하는 경우에 후원 결정이 쉬워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거리에서 후원을 거절하는 이유 Top 6

정기후원신청서를 쓰다 멈칫하는 햄스터

 

반면, 거리에서 후원을 거절하는 이유는 주로 금액 부담, 정기 부담, 신뢰도 문제, 인터넷으로 신청할 계획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이어서 종교문제, 금융정보 부족의 순서였다. 금액 부담은 사람마다 느끼는 기준이 달라, 소액이라도 누군가에게는 큰 부담으로 다가올 수 있다. 또한, 정기 후원의 경우, 단체에 필요한 것이지만 후원자에게는 부담으로 느껴질 수 있다는 점, 신뢰도 문제는 단체에 대한 불신과 후원 자체에 대한 불신으로 나뉘며, 이는 해소하기 어려운 문제로 남아 있다. 인터넷 신청의 경우, 직접 정보를 알아보고 결정하려는 사람이 더 오랫동안 참여한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변화를 만드는 단체의 역할

후원자의 밤

 

결정과 거절은 변화하는 인간의 마음가짐과 같이,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중요한 것은 변화의 계기를 만들고, 그 변화한 마음을 우리 편으로 끌어들이는 시스템을 만드는 단체의 역할이다. 이를 위해서는 단체가 사회적 신뢰를 구축하고, 투명한 활동 보고와 함께, 후원자들에게 그들의 기여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실제로 어떤 변화를 만들어내고 있는지를 보여주어야 한다. 또한, 후원자들이 자신이 기여한 부분에 대해 자부심을 느낄 수 있도록 소통하는 것이 중요하다. 

 

단체는 또한 후원 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찾아야 한다. 예를 들어, 신규 후원자를 위한 환영 이벤트, 후원자들의 소감을 공유하는 SNS 캠페인, 후원자들과의 정기적인 만남이나 온라인 모임을 통해 커뮤니티를 만드는 것 등이 있다. 이런 활동들은 후원자들이 단체와 더 깊이 연결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후원자들 사이에서도 서로 영향을 미치고 격려하는 긍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

 

현장에서 거절이 평생 거절이 아니다

정기후원 신청서를 달라고 하는 햄스터

 

거리 캠페인을 넘어서, 단체는 사회적 이슈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사람들이 사회적 문제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함께 고민하며, 필요한 변화를 위해 행동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거리 캠페인은 사람들이 직접 만나는 대면 활동이기 때문에, 온라인 캠페인과는 다른, 더 직접적이고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다.

 

결국, 거리캠페인의 의미와 참여 계기는 개인적인 관심과 소에서 비롯되지만, 이를 통해 사회적 변화를 추구하는 흐름에 기여할 있다. 각자의 작은 관심과 참여가 모여 사회에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따라서, 거리 캠페인은 단순히 후원을 요청하는 활동을 넘어서, 사회적 인식을 변화시키고, 모두가 함께 나아가는 나은 세상을 만드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있다.

 

 

 

2024.03.24 - [비영리 아카이빙(NPO-Archiving)] - [F2F캠페인 외전] F2F 캠페인의 이면 : 캠페이너 당신은 누구인가?

 

[F2F캠페인 외전] F2F 캠페인의 이면 : 캠페이너 당신은 누구인가?

시민 1 : 아이고, 학생들이 고생이 많네. 아웃소싱 업체 캠페이너 교육 담당자 : 시민분이 어느 소속이냐고 물어보면 공식적으로 OO NGO 단체가, 아니라 후원자 개발 위탁 용역을 맡은 우리 업체 소

npo-archiving.tistory.com

 

320x100
320x100

회사의 독특한 가치는 그 회사만의 독특한 매력을 의미합니다. 브랜드가 될 수도 있고, 대표가 될 수도 있고, 사업 아이템이 될 수도 있고, 고객서비스가 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독특함은 대놓고 드러나거나 누군가(이때는 보통 소비자)에 의해 강제로 밝혀져야 합니다. 이는 연애 시장에서 착한 남자가 상대적으로 인기가 없는 이유와 비슷합니다. 그들은 (내면과 첫눈에 알아보기 어려운 매력과 별개로) 겉으로 보기에는 특별한 매력이 부족하고, 시장에서 흔한 존재이기 때문입니다.

 

 

거리 캠페인에서는 물리적, 시간적 한계로 인해 가능한 행동이 제한적입니다. 따라서 가능한 한 짧은 시간 내에 정보를 압축하여 전달해야 합니다. 그러기에 압축과정에서 손실되는 정보가 상당합니다. 거리 캠페인은 사실상 발로 뛰는 영업입니다. 더구나 회사의 모든 부서가 서로 유기적으로 협동이 잘 되어야 합니다. 마케팅 부서가 판매 포인트와 타겟 전략을 설정하면, 영업 부서는 이에 맞춰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이는 비영리 단체에도 적용됩니다. 단체는 '일단 나가서 모금해 와'라는 식으로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것이 아닙니다. 거리 캠페인과 병행하는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홍보와 마케팅 팀이 협력하여 필요한 정보를 공유해야 합니다. 현재 거리에서 시민들의 반응과 실질적인 인지도, 마케팅팀에서 정한 슬로건과 자료가 시민들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이해하기 쉬운지 등을 공유해야합니다.

 

즉 중요한 것은, 거리 캠페인에 필요한 무기와 보급로를 마련하는 것입니다. 회사의 특징을 반영한 마케팅은 불필요한 설명을 줄여주며, 거리 캠페인의 약점을 보완할 수 있습니다.

 

즉 거리 캠페인에 무기와 보급로를 만들어주자

 

특히 비영리 단체의 투명성 이슈는 거리에서 간단히 설명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투명성은 신뢰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이는 여러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투명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거리 캠페인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홍보 전략에 포함되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사람들은 의심을 시작하게 됩니다. 우리는 가짜 뉴스의 시대에 살고 있기 때문입니다.

 

 

거리 캠페인은 기관의 사업 설명과 참여 방법 정도만 설명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모든 홍보와 마케팅을 거리 캠페인에만 의존해서 하는 것보다, 사람들이 "아, 그 기관? 고민하고 있었는데 참여해야겠다."라고 생각하게 만드는 것이 목표입니다. 

 

추가 자료:

1. "How to Improve Nonprofit Transparency | A Complete Guide"

https://donorbox.org/nonprofit-blog/nonprofit-transparency

 

How to Improve Nonprofit Transparency | A Complete Guide

Learn the essential steps to improve the overall nonprofit transparency, strengthen donor trust, and garner more support for your cause.

donorbox.org

 

2. "Street Fundraising Best Practices for Nonprofits"

https://bloomerang.co/webinar/video-street-fundraising-best-practices-for-nonprofits/ 

 

Street Fundraising Best Practices for Nonprofits

In this webinar, Daryl Upsall, FInstF takes us on a world tour of cutting edge best practices for street fundraising. You can watch the replay here:

bloomerang.co

 

320x10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