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2023년부터 서울시공익활동지원센터 내 공익활동과 관련된 아카이브 활동에 '로코망고'라는 닉네임으로 큐레이터로 활동해왔다. 

 

관련 섹터에 근무하고, 공부하면서 다양한 활동사례와 정보들을 공유하고자 꾸준하게 활동하고 있다. 

 

이에, 내가 쓴 글을 한 눈에 모아 볼 수 있게 링크를 공유한다.

 

키워드 : 뉴스레터, 실무자, 모금캠페인 설계, 후원자 질문, 캠페인 기획, 모금 제안서, 게임과 비영리, 비영리단체 지원, 소셜임팩트, IT 지원, 공관대관, 고향사랑기부제, 어린이렌즈투자

 

 


1. 모금 실무자에게 필요한 뉴스레터 및 즐겨찾기 모음

https://www.seoulpa.kr/bbs/board.php?bo_table=npo_aca&wr_id=74217&sfl=wr_name%2C0&stx=로코망고&sop=and&page=2

 

모금 실무자에게 필요한 뉴스레터 및 즐겨찾기 모음 - 서울시공익활동지원센터

사회복지, 비영리 섹터는 누군가에게 받는 돈이 없다면 절대 운영될 수 없다. 정부 보조금이던, 기업의 기금이던, 개인 후원자의 정기 후원금 이던 외부에서 돈을 받아 와야한다.&

www.seoulpa.kr

 

 

 

2. 책을 통해 보는 모금 캠페인 체크리스트 #1 - 캠페인 설계하기

https://www.seoulpa.kr/bbs/board.php?bo_table=npo_aca&wr_id=74223&sfl=wr_name%2C0&stx=로코망고&sop=and

 

책을 통해 보는 모금 캠페인 체크리스트 #1 - 캠페인 설계하기 - 서울시공익활동지원센터

영리와 비영리는 추구하는 목적은 다르지만, 이용하는 수단은 비슷합니다. 특히 고객 또는 후원자를 모집하는 과정은 영리와 비영리 도구는 다를지언정 방식은 동일합니다. 우리가 흔히 마케팅

www.seoulpa.kr

 

 

3. 후원자가 느끼는 궁금증 - 당신은 답변할 준비가 되어 있나요?
https://www.seoulpa.kr/bbs/board.php?bo_table=npo_aca&wr_id=74230&sfl=wr_name%2C0&stx=로코망고&sop=and&page=2

 

후원자가 느끼는 궁금증 - 당신은 답변할 준비가 되어 있나요? - 서울시공익활동지원센터

최근에 가지고 싶었던 물건을 구매한 적 있나요? 몇달째 장바구니에 넣어놓고 살까말까 고민한적 있나요? 우리는 물건을 살 때 많은 리뷰, 지인의 후기를 살펴 봅니다…

www.seoulpa.kr

 

 

4. 책을 통해 보는 모금 캠페인 체크리스트 #2 - 캠페인 기획
https://www.seoulpa.kr/bbs/board.php?bo_table=npo_aca&wr_id=74244&sfl=wr_name%2C0&stx=로코망고&sop=and&page=2

 

책을 통해 보는 모금 캠페인 체크리스트 #2 - 캠페인 기획 - 서울시공익활동지원센터

앞선 글에서 캠페인을 진행하기 위한 기초적인 설계 체크리스트를 알아보았습니다. 설계와 기획은 조금 다릅니다. 설계는 일종의 뼈대입니다. 기본 뼈대가 튼튼하고 잘 갖춰지지 않으면 아무리

www.seoulpa.kr

 

 

5. 책을 통해 보는 모금 캠페인 체크리스트 #3 - 모금 제안서 기획
https://www.seoulpa.kr/bbs/board.php?bo_table=npo_aca&wr_id=74266&sfl=wr_name%2C0&stx=로코망고&sop=and&page=2

 

책을 통해 보는 모금 캠페인 체크리스트 #3 - 모금 제안서 기획 - 서울시공익활동지원센터

​책을 통해 보는 모금 캠페인 체크리스트 #3 - 모금 제안서 기획  모금은 단순히 돈을 모으는 행위가 아닌, 사회적/지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지자를 모은 행위다. 즉 모든 모금 캠페인은

www.seoulpa.kr

 

 

6. 게임과 비영리 임팩트 #1
https://www.seoulpa.kr/bbs/board.php?bo_table=npo_aca&wr_id=74283&sfl=wr_name%2C0&stx=로코망고&sop=and&page=2

 

게임과 비영리 임팩트 #1 - 서울시공익활동지원센터

게임은 인류의 역사가 시작 된 이래로 다양한 형태의 모습을 가져왔다. ‘요한 하위징아‘(네덜란드) 1938년 호모 루덴스(Homo Ludens 유희하는 인간) 이론을 주장하면서 인간은 놀이를 통해 경쟁하

www.seoulpa.kr

 

 

7. 게임과 비영리 임팩트 #2
https://www.seoulpa.kr/bbs/board.php?bo_table=npo_aca&wr_id=74288&sfl=wr_name%2C0&stx=로코망고&sop=and&page=2

 

게임과 비영리 임팩트 #2 - 서울시공익활동지원센터

앞서 우리는 게임을 만드는 게임사가 사회를 이루는 기업시민으로서 행하는 다양한 사회공헌사업을 살펴 보았다. 이번 글에서는 게임자체로, 게임을 좋아하는 게이머(혹은 관계자들)들이 행하

www.seoulpa.kr

 

 

8. 비영리단체 지원 프로그램 #1 - IT 프로그램
https://www.seoulpa.kr/bbs/board.php?bo_table=npo_aca&wr_id=74296&sfl=wr_name%2C0&stx=로코망고&sop=and&page=2

 

비영리단체 지원 프로그램 #1 - IT 프로그램 - 서울시공익활동지원센터

많은 비영리단체와 소셜임팩트를 꿈꾸는 조직들의 고민은 ‘한정된 예산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일 것이다. 보조금은 사용처가 한정되어 있어 운영비로 사용하기 어렵고, 후원금을 늘 부족

www.seoulpa.kr

 

9. 소셜임팩트 조직 소개 - Social Value Connect 2023 참가 후기
https://www.seoulpa.kr/bbs/board.php?bo_table=npo_aca&wr_id=74323&sfl=wr_name%2C0&stx=로코망고&sop=and&page=2

 

소셜임팩트 조직 소개 - Social Value Connect 2023 참가 후기 - 서울시공익활동지원센터

 Social Value  Connect 2023새로운 연결과 협력, 지속가능한 성장 그랜드워커힐 호텔2023년 9월 15일 대한민국의 소셜섹터 확산과 네트워크를 위한 컨퍼런스가 2023년 9월 15일 그랜드워커힐 호텔

www.seoulpa.kr

 

 

10. 비영리단체 지원 프로그램 #2 - 공간 대관
https://www.seoulpa.kr/bbs/board.php?bo_table=npo_aca&wr_id=74338&sfl=wr_name%2C0&stx=로코망고&sop=and&page=2

 

비영리단체 지원 프로그램 #2 - 공간 대관 - 서울시공익활동지원센터

비영리단체에게는 IT프로그램의 지원도 중요하지만, 물리적 공간 확보도 매우 중요하다. 비영리단체는 인재, 즉 사람이 곧 유일한 자원이기 때문에 직원이 일할 공간, 잦은 외부인사와 미팅, 클

www.seoulpa.kr

 

 

11. 고향사랑기부제 톺아보기
https://www.seoulpa.kr/bbs/board.php?bo_table=npo_aca&wr_id=74358&sfl=wr_name%2C0&stx=로코망고&sop=and&page=2

 

고향사랑기부제 톺아보기 - 서울시공익활동지원센터

 ‘서울공화국’이라고 불릴 정도로 수도권, 대도시 집중화로 지방 소멸이 현실화 되고 있는 대한민국. 지방 소멸을 막기 위해 수많은 대책과 정책, 지원이 제시되고 있지만 어느 하나 효과적

www.seoulpa.kr

 

 

12. 게임의 사회적기여 확장을 위한 EXPANSION PACKS 세미나 참여 후기
https://www.seoulpa.kr/bbs/board.php?bo_table=npo_aca&wr_id=74367&sfl=wr_name%2C0&stx=로코망고&sop=and&page=2

 

게임의 사회적기여 확장을 위한 EXPANSION PACKS 세미나 참여 후기 - 서울시공익활동지원센터

참고 : 필자가 일전에 작성한 게임과 비영리 임팩트 #1 #2 시리즈를 읽고 난 후 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게임과 비영리 임팩트 #1 (보러가기) 게임과 비영리 임팩트#2 (보러가기)   사회 공헌과

www.seoulpa.kr

 

 

13. 어린이 렌즈 투자? 그게 뭐지요? (유니세프 어린이 렌즈 투자 영문 보고서 한글 번역 요약)
https://www.seoulpa.kr/bbs/board.php?bo_table=npo_aca&wr_id=74381&sfl=wr_name%2C0&stx=로코망고&sop=and&page=1

 

어린이 렌즈 투자? 그게 뭐지요? (유니세프 어린이 렌즈 투자 영문 보고서 한글 번역 요약) - 서울

 어린이 렌즈 투자(Child Lens Investing)라는 용어를 들어본적 있나요? 어린이들을 위한 안경 유리 렌즈 투자일까요? 단순 용어만 보면 그렇게 느껴질 수도 있겠습니다. 반면 ESG투자는 많이 들어

www.seoulpa.kr

 

 

320x100
320x100
상황 1 : 시민 - 지금 여기서 신청서 쓰는 거 말고는 다른 방식으로는 후원 못하나요?

 

 

F2F캠페인을 하다 보면 상황 1의 질문을 정말 많이 듣는다. 돌려 말하는 거절일 수도 있고, 후원은 하고 싶은데 원하는 방식이 아닐 수도 있다. 나 같은 경우도 후원은 카드결제 방식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당시 F2F캠페인을 진행할 때 이런 반응을 많이 접했고, 그때마다 어떻게든 현장에서 정기후원신청서를 작성하게끔 만들도록 설득해야 했다. 그러다가 잠재 후원자 풀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끼고, 현장 카드결제 / 뉴스레터 구독 DB 모집 등의 추가 접촉 채널을 만들었다.

 

상황 2 : 그런데 기업 사회공헌팀 미팅은 잡았는데 뭐부터 해야 하지?

 

 

내가 구독하던 한 게임사의 뉴스레터에서 사회공헌사업 또는 단체를 추천하는 설문조사를 하기에, 당시 일하던 사회복지법인의 사업을 구구절절하게 작성했다. 그리고 다행히도 거기서 먼저 미팅을 원하는 연락을 주었다. 하지만 나는 F2F캠페인만 했지, 기업사회공헌은 전혀 경험이 없었다. 더 큰 문제는 회사 내에 사회공헌과 관련된 조언을 해줄 수 있는 어떤 사람도 없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최대한 많은 자료를 다 들고 갔었고, 결론적으로는 하지 말아야 할 행동만 해버리고 말았다. 거기서 누군가 기업 사회공헌과 관련되어서 하지 말아야 할 팁이라도 알려줬더라면...

 

 

 

**모금, 다양한 방식으로**

 

차를 구매하기 위해 돈다발을 쌓아둔 햄스터

 

우리가 차를 산다고 가정해 보자. 일시불로 한꺼번에 지불할 수도 있고, 할부로 나눠서 살 수도 있고, 대출을 끼고 살 수도 있다. 하지만 차를 살 수 있는 방법은 한정적이다. 물물교환을 한다든지, 일을 대신해 주고받는다든지, 여러 사람과 한 대의 차를 공동구매한다든지 이런 방식으로 차를 구매하지는 않는다.

 

모금은 다르다. 똑같이 돈이 이동하지만 물건을 구매하는 방식보다 더 다양하다. 구매방식과 비슷한 일시 후원, 구독과 비슷한 정기후원 외에도 물품 후원, 바자회, 행사를 통한 후원 등 얼마든지 새로운 방식으로 모금이 가능하다. 사람이 모이는 곳에 돈이 모이듯, 사람을 모을 수 있는 기회만 있다면 모금의 기회는 얼마든지 열려있다.

 

**거리 캠페인, 한때의 유행**

정기후원개발을 위해 조끼를 입고 신청서를 손에 들고 거리로 나온 햄스터

 

한 때 거리 캠페인의 붐이 일었던 적이 있었다. 정기후원이라는 개념보다 ARS후원, 사랑의 리퀘스트, 구세군 냄비를 후원의 전부라고 여겼던 시민들에게 거리 캠페인을 통한 후원개발은 새로운 개념이었다. 더구나 일시, 현금이 아닌 계좌, 카드를 통한 정기후원이라니. 자기가 직접 찾아서 정기후원을 신청한다는 개념보다 찾아오는 서비스에 거리 캠페인은 점차 늘어났고, 결국 후원의 피로도, 횡령, 비리 사건 등의 악재와, 인터넷과 모바일로 직접 찾아보는 것에 익숙한 세대들이 점차 늘어나는 인구변화에 따라 거리 캠페인의 호응도가 점차 줄어들었다. 거리 캠페인이 아니더라도 후원을 할 수 있는 방법은 얼마든지 있기 때문에 굳이 ‘거리에서’, ‘바로 해야 한다는 것’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

 

**새로운 모금 방식 등장**

온라인 모금 페이지로 후원금 결제를 하는 햄스터

 

펀딩 플랫폼, 같이가치, 해피빈, 사회적 기업의 제품 등 플랫폼과 기술의 발달로 기존과 다른 방식의 모금 방식이 등장하면서 예전 방식의 사랑의 온도탑, 구세군 냄비 같은 상징적인 모금의 비중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 특정 기간에 몰리는 모금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정기후원의 비중이 늘어나는 것이 단체 입장에서는 좋겠지만, 지나치게 높은 비율도 좋지 않다. 

 

**목돈이 필요한 사업**

긴급한 재난으로 인해 아주 통크게 기부하는 돈 많은 햄스터

 

왜냐하면 거리 캠페인만을 통한 정기후원의 모금으로는 시간이 급박한 사업을 시행하기 어렵다. 시간이 급박한 사업(재난과 같은 상황)의 대부분 목돈이 필요한 사업인데, 후원자 규모가 몇 십만 명 규모가 아닌 이상 목돈은커녕 기존 사업비로 충당하기도 급급하다. 따라서 목돈이 들어올 수 있는 모금의 창구는 항상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 목돈이 들어올 수 있는 모금은 주로 기업이나 단체들의 사회공헌 기부였고, 이후 유산기부가, 최근에는 빅벳 필란트로피(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주 크게 지원하는 형태)가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모금은 금액단위가 크기 때문에 오랜 기간의 밑 작업이 필요하다. 전담팀이나 인력이 지치지 않도록 아낌없는 지원을 해줘야 한다. 한 건의 모금만 성공시켜도 모금액을 바탕으로 더 큰 사업을 이끌어내고 더 많은 정기후원으로 이어질 수 있다. 소액 정기후원은 인연을 유지함으로 족하다.

 

**모금은 다양한 방법으로**

다양한 투자 상품에 투자하는 전문투자 햄스터

 

모금은 반드시 거리 캠페인뿐만 아니라 다른 방법으로도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주식투자를 듣는 말이 있다. 절대 계란을 바구니에 쌓지 말아라. 지나치게 하나에 집중되어 있는 모금사업은 시장의 변화에 유연하게 따라가지 못한다.

 

2024.03.09 - [비영리 아카이빙(NPO-Archiving)] - [F2F캠페인 외전] 캠페인의 성공, 맨 땅에 헤딩?

 

[F2F캠페인 외전] 캠페인의 성공, 맨 땅에 헤딩?

문제상황 1 : 중년의 남자 2명이 캠페인 부스로 찾아오더니 자기가 공무원인데 이거 신고하고 캠페인 진행하는 거 맞냐고, 자기들 불법단체 아니냐고 하면서 이거 신고할거라고 위협적인 어조로

npo-archiving.tistory.com

 

320x10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