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전편에 이어서...

 

학점은행으로 학점은 어느정도 해결되었고, 이제 실질적으로 남은건 자격증 시험공부 뿐이다.

 

1학년 때 부터 전공 공부한 과목들이 시험으로 나오지만, 이미 군대 포함 4~5년 전인데 기억이 날리가 있나. 그래서 당연한 수순으로 서점에 가서 사회복지사 1급 자격증 수험책을 샀다. 역시나 두꺼운 수험책을 보자마자, '아 이건 쉬엄쉬엄 할 수 있는 준비가 아니다.'라고 판단.

 

2달정도 다니던 스시집 알바를 그만두고(알바가 주6일, 12시간이라 힘든 것도 있었지만), 자취방 바로 앞 롯데리아 알바를 시작했다.

 

확실히 근무시간이 줄어들면서, 자격증 공부를 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생겼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울게 장난 아니게 많았다. 분명 배운 기억도 나고, 중간/기말고사까지 치룬 공부 분야이지만, 당연히 수험서를 볼때마다 새로웠고 실제 문제를 푸는 경우에는 아리까리하게 나오면 당연히 틀렸다. 생전 처음 들어보는 이론도 많았고, 정책이나 행정에서는 숫자 하나가지고 틀리는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그렇다고 내가 공부를 포기할리는 없지. 자격증 시험의 핵심은 만점이 아니라, 과락을 면하고 최저 점수만 맞춰도 된다는 것이다. (평균 60점 이상, 과락 기준 40점 미만) 확실히 아는 것은 후다닥 넘기고, 모의고사와 예상문제를 풀면서 틀린 것들만 오답노트로 만들었다. 

 

각 과목별로 오답노트를 작성하고, 모의고사와 예상문제에서 틀린 문제가 나올 때마다 기존에 작성한 오답노트 부분에 덧붙여가면서 업데이트를 했다. 처음에 산 수험서 1권을 다 독파하고 난 뒤에는, 이 오답노트만 달달 외웠다.

 

앞서 내가 롯데리아 알바를 했다고 말했는데, 내가 맡은 업무는 햄버거 제조 파트여서 손님이 몰리는 시간이 아니면 한가로웠다. 그래서 인쇄해간 오답노트를 놓고, 손님이 없거나, 주문이 없는 시간이 날 때마다 외웠다. 

 

320x100

 

오답노트 일부
오답노트 일부

 

그렇게 달달달달 외운 오답노트의 힘을 믿고 마침내 사회복지사 자격증 시험을 치루러 갔다.

수험표

320x100
320x100

전편에 이어서...

 

국사학과를 복수전공하긴 했지만, 사회복지전공으로 취업하기로 맘을 먹고 나니, 이제서야 내가 딴 학점관리들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당시 사회복지사 자격증 취득을 위해서는 필수로 있어햐할 10과목 중에, '사회복지행정론'이 있었다. 그런데 내가 눈을 씻고 수강신청표와 성적표를 뒤져봐도 난 사회복지행정론을 듣지 않았고, 그와 비슷한 수업도 들은적이 없었다. 졸업이 코앞인데, 이거 하나 듣자고 다시 한학기를 다시 다니는 것도 무리라는 판단이 들었다.

 

청량리역 근처에 있는 문고에서 사회복지학과 자격증 수험책을 뒤져가며 필수 과목들 부분만 습득하고 인터넷 검색을 한 결과, 내가 내린 결론은 '성적은 상관없이, 어쨌든 학점만 있으면 된다.'였다. 그럼 대학교에서 듣나, 온라인에서 듣나는 중요치 않다는 판단을 내렸다. 그러나 다음 고민은 '온라인으로 어떻게 수강을 하는가?'였다.

 

가장 먼 든 생각은 사이버대학교였다. 사이버대학교도 '대학교'인만큼 연간 등록 및 수강일정이 존재했기 때문에, 이미 수강신청 기간은 지난 상황이었다. 그래서 다음 대안으로 찾은 것이 학점은행제였다. 필요한 학점을 위해서 1과목이든, 2과목이든 내가 들을 수 있을만큼 들으면 되는 거였다. 많은 네이버 지식인과 블로그를 통해서 홍보성이 짙은 답변들을 탐독하면서 학점은행은 선택했고, 사회복지행정론 온라인 수강을 들었다. 

 

녹화형 온라인강의였다보니, 내가 시간날때마다 집에서 틈틈히 들었다. 인강과 다르게 온라인으로 과제도 제출해야했다. 현장에서 듣는게 아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지루하기는 했었지만...

 

행정론수강 캡쳐 페이지

 

이렇게 사회복지실습 시간도 채웠고, 필수 학점도 다 채웠으니, 남은 것은 1년에 한번 있는 사회복지사 자격시험을 준비하는 것 뿐이다. 

 

to be continued...

320x10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