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무버멘트 캠페인 참여한 햄스터
무버멘트 캠페인에 참여한 햄스터

 

모금 캠페인 참여자들의 동기는 다양하지만, 크게 세 가지 주요 관심사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첫째, 참여자들은 특정 단체에 대한 관심으로 인해 후원을 결정합니다.

 

둘째, 특정 캠페인을 진행하는 단체의 전문성에 관심을 가집니다.

 

셋째, 캠페인 자체에 대한 관심도 후원 결정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 세 가지 관심사가 모두 충족되면, 후원자와 단체 간의 신뢰도 높은 관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관심사를 충족시키는 것은 쉽지 않지만, 대부분의 후원자들은 최소 두 가지 요소가 충족되면 후원에 참여할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단, 한 가지 관심사만 충족되는 경우, 후원의 방향성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는 후원자의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캠페인을 진행할 때는 이 세 가지 주요 관심사를 최대한, 혹은 적어도 두 가지는 만족시킬 수 있도록 기획해야 합니다. 이러한 접근은 후원자와 단체 간의 긍정적인 관계를 구축하고, 지속 가능한 후원 활동을 이끌어낼 수 있는 기반이 됩니다. 

 


 

1. 그 단체에 관심

브랜딩은 단체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대외적으로 그 이미지를 알리는 중요한 작업입니다. 단체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 특정 수식어나 이미지를 통해 대중에게 인식시키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이는 단체의 미션, 비전, 제공하는 서비스, 평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유한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예를 들어, LG전자는 '백색 가전의 선두주자', 애플은 '개인정보 보호의 대명사', 월드비전은 '기독교 계열의 신뢰할 수 있는 NGO'와 같이 각기 다른 수식어로 대중의 인식 속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러한 브랜드 이미지는 한번 정착되면 '초두효과'로 인해 쉽게 바뀌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LG전자의 경우, 과거 '잘 만들어 놓고 홍보를 못하는 기업'이라는 이미지가 인터넷 상에서 밈으로 유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는 소비자들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인식으로, 브랜딩이 단체가 의도적으로 유도하는 것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에 의해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프라이탁(Freitag)은 환경 친화적인 방식으로 제품을 제작하는 스위스의 사회적 기업으로, 젊은 세대 사이에서 힙하게 받아들여지는 브랜드 중 하나입니다. 프라이탁은 1993년에 설립되어 사용하지 않는 트럭 방수포, 자동차 안전벨트, 자전거 타이어 등을 재활용하여 가방과 지갑 등의 액세서리를 제작합니다. 이러한 독특한 재활용 아이디어와 제품의 내구성, 그리고 각 제품의 독특한 디자인은 많은 사람들, 특히 환경을 생각하는 젊은 소비자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프라이탁의 제품은 하나하나가 독특한 패턴과 색상을 가지고 있어 소비자가 자신만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러한 점이 젊은 세대의 개성과 자기표현을 중시하는 트렌드와 잘 맞아떨어져 프라이탁은 패션과 환경을 동시에 신경 쓰는 소비자들에게 인기 있는 브랜드가 되었습니다.

 

또한, 프라이탁은 지속 가능성과 환경 보호라는 사회적 가치를 제품에 담아내는 방식으로 사회적 기업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점이 프라이탁을 단순한 패션 브랜드에서 벗어나 젊은 세대에게 힙하고 가치 있는 브랜드로 인식되게 만든 주요 요인 중 하나입니다. 

 

http://www.cas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983

 

그 자체로 '지속 가능한',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메신저백, '프라이탁' - 사례뉴스

독일어로 ‘금요일’을 의미하는 프라이탁(Freitag)은 이제 한국에도 익숙한 단어다. 토요일(Samstag)과 일요일(Sontag)도 아니고, 유독 금요일(Freitag)을 우리나라 사람들이 많이 아는 이유가 따로 있

www.casenews.co.kr

 

 

2.  내부 직원 브랜딩

단체의 브랜딩 전략은 내부 직원 브랜딩과 외부 브랜딩으로 구분됩니다. 내부 브랜딩은 조직 내부의 직원을 대상으로 하며, 외부 브랜딩은 언론, 대중, 협력업체 등 외부 이해관계자들을 포함합니다. 내부 브랜딩의 중요성은 직원을 단지 조직의 일원으로만 보지 않고, 단체의 중요한 후원자로 인식하는 데에서 시작됩니다. 일반적으로 내부 브랜딩은 직원 교육을 통해 이루어지지만, 대부분 연혁이나 사명감에 대한 교육에 그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모금 캠페인과 같은 중요 프로젝트를 내부 팀이 담당할 경우, 이에 대한 주기적인 교육이 필수적입니다.

 

또한, 많은 직원들이 자신이 속한 조직과 사업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있지 못한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조직의 체계가 복잡하거나 팀이 많을수록, 다른 팀의 업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특히 모금 부서와 사업부서가 분리되어 있을 때 두드러지며, 서로의 업무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해 동료가 아닌 적으로 바라보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부 브랜딩은 각 팀의 업무가 단순히 힘든 것이 아니라, 다른 팀과의 협업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는 마인드로의 전환을 도울 수 있습니다. 이는 조직 내에서의 상호 이해와 협력을 증진시키며, 결국 조직 전체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94343

 

내부 브랜딩 활동이 직원 브랜드 헌신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내부 브랜딩(internal branding)은 최근 강력한 브랜드를 만들고 유지하는 데 효과적인 도구로 인정을 받고 있다. 이는 무한 경쟁 시대의 오늘날 독특하고 뚜렷한 속성이 부족한 기업의 기능적 가치

www.kci.go.kr

 

 

3. 외부 브랜딩

외부 브랜딩의 핵심은 후원자가 우리 단체를 알게 하는 것입니다. 홈페이지, SNS, 보도자료, 광고 등 다양한 홍보 채널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채널의 많고 적음보다 중요한 것은 모든 채널에서 일관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홍보 담당자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특히 내부 경력직이 담당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하지만 모든 채널을 100% 컨트롤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가장 통제할 수 없는 채널은 '입소문'입니다. 입소문은 주변 지인을 통해 이루어지며, 후원자들에게 가장 신뢰도 높은 홍보 채널로 작용하곤 합니다. 따라서 모든 채널이 후원자들에게 친근하게 다가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모금 캠페인 시 지인에게 요청하는 것을 꺼려하지 말고, 마치 고액 후원자를 만나는 것처럼 철저히 준비하여 접근해야 합니다. 이렇게 접근한 지인은 훌륭한 후원자이자 홍보대사가 될 수 있다. 

 

비영리 브랜드의 입소문 마케팅에 관한 구체적인 사례로는 "Movember(무버멘트)" 캠페인을 들 수 있습니다. Movember Foundation은 전 세계 남성의 건강 문제, 특히 전립선암, 고환암, 정신 건강 및 자살 예방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비영리 단체입니다. 이 캠페인은 매년 11월에 남성들이 콧수염을 기르도록 장려하여 남성 건강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관련 연구와 프로젝트를 지원하기 위한 기금을 모금합니다.

 

Movember 캠페인의 성공은 크게 입소문 마케팅에 기인하며, 소셜 미디어를 통한 참여자들의 콧수염 성장 과정 공유가 중심이 되었습니다. 참여자들은 자신의 콧수염 사진을 #Movember 해시태그와 함께 소셜 미디어에 올리고, 이를 통해 친구, 가족, 동료들로부터 후원을 받았습니다. 이러한 개인의 참여가 모여 큰 입소문을 일으키며, Movember Foundation의 메시지를 전 세계에 퍼뜨리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https://www.gofundme.com/en-gb/c/blog/about-the-movember-foundation

 

About the Movember Foundation - GoFundMe (UK)

The Movember Foundation is a charity dedicated to supporting men’s health around the globe. Find out more about the Foundation, its mission, and how to support it.

www.gofundme.com

 

 

 

 

 

2024.04.19 - [비영리 아카이빙(NPO-Archiving)] - [F2F캠페인 외전] S.M.A.R.T 한 계획을 짜기 위한 수학적 기법 활용 - 하편

 

[F2F캠페인 외전] S.M.A.R.T 한 계획을 짜기 위한 수학적 기법 활용 - 하편

복잡한 도형의 넓이를 구할 때 적분이 사용되듯, 캠페인도 마찬가지입니다. 캠페인을 구성하는 각 요소를 미세하게 쪼개고 이해하는 과정을 '미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단계에서는 문장을

npo-archiving.tistory.com

 

320x100
320x100

복잡한 도형의 넓이를 구할 때 적분이 사용되듯, 캠페인도 마찬가지입니다. 캠페인을 구성하는 각 요소를 미세하게 쪼개고 이해하는 과정을 '미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단계에서는 문장을 단어로 분해하여 각각을 명확하게 정의합니다. 그다음, '적분' 단계에서는 이렇게 정의된 단어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재조합하여 새로운 의미를 창출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도치법, 은유, 직유, 번역, 비교 등 다양한 문학적 기법을 활용하여 캠페인 메시지를 다채롭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단어와 문장의 배치에 따라 전달되는 느낌과 메시지가 크게 달라지기에, 이러한 '적분' 과정은 캠페인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새벽 우유배달로 독거어르신의 안부를 확인하는 우유배달부 햄스터
벽 우유배달로 독거어르신의 안부를 확인하는 우유배달부 햄스터

 


 

감정을 자극하는 표현의 사용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필리온 트러스트는 "Fuck the poor"라는 자극적인 문구를 사용하여 "help the poor"라는 메시지를 강조했고, Dove의 'Real Beauty' 캠페인은 여성들의 자기 이미지에 대한 불안과 불확실성을 자극하여 사회적 논의를 촉진했습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적절한 맥락에서 사용될 때, 사람들의 감정을 자극하고, 큰 분노나 논의를 일으켜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Fuck the Poor

https://www.youtube.com/watch?v=rElgYNemi1A&themeRefresh=1

 

Real beuty 캠페인

https://www.youtube.com/watch?v=Enudo67zkZY

 

 

 

우리의 상식을 살짝 비트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도 소비자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브랜드의 철학을 강조하는 데 유용합니다. 파타고니아는 "우리의 옷을 사지 마세요"라는 메시지로 지속 가능한 소비를 장려했고, Burger King은 'McWhopper' 제안을 통해 경쟁사와의 협력을 제안했습니다. 이러한 상식에 반하는 접근 방식은 예상치 못한 방식으로 소비자의 관심을 끌고, 브랜드의 가치와 철학을 전달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파타고니아

https://www.youtube.com/watch?v=QYBMcFDyOXo

 

버거킹 맥도날드 광고

https://brunch.co.kr/@paikgon/78

 

 

 

 

익숙한 표현의 사용은 사람들이 쉽게 참여하도록 유도하고, 메시지에 대한 친숙함을 높입니다. 기빙 튜즈데이는 '튜즈데이'라는 익숙한 요일을 활용하여 기부 캠페인을 조성했고, 'Save the Children'의 크리스마스 점퍼 데이는 크리스마스 테마의 스웨터를 통해 아동 복지 향상을 위한 자금을 모금했습니다. 이러한 전략은 이미 익숙한 요소를 활용하여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참여하고자 하는 분위기를 조성합니다.

 

기빙튜즈데이

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981996

 

크리스마스 점퍼데이

https://www.sc.or.kr/jumperday/intro.do

 

 

어렵고 무거운 주제를 친숙한 물건으로 대체하는 것은 복잡한 문제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그대로도 괜찮은 쿠키' 캠페인은 장애에 대한 인식을 친숙한 쿠키를 통해 전환시켰고,

매일우유의 '우유안부' 캠페인은 매일 새벽에 배달되는 우유의 개수를 기준으로 홀로 사시는 어르신들의 상황을 파악하는 캠페인으로, 독거 어르신의 문제를 '우유배달'이라는 방법을 통해 해결하고자 했습니다.

 

그대로 괜찮은 쿠키

https://www.justfinecookies.com

 

매일우유 우유안부캠페인

https://youtu.be/N1ozirsbePY?list=TLGG5kLMdnuJSmgxOTA0MjAyNA

 

 

 

단어에서 오는 선입견을 부정하는 메시지는 사회적 인식을 변화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와디즈의 "음료라는 음료는 없습니다" 캠페인은 점자로 표기된 음료 캔의 중요성을 강조했고, Always 브랜드는 "#LikeAGirl" 캠페인 통해 "소녀처럼"이라는 표현이 가지고 있는 부정적인 의미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자 했습니다. 캠페인은 "소녀처럼 달린다" 또는 "소녀처럼 던진다" 같은 표현이 부정적으로 여겨져야 하는지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도전하며, 여성의 자신감과 긍정적 자아상을 강화하는 기여했습니다.

 

음료란 음료는 없습니다

https://www.wadiz.kr/web/campaign/detailPost/1137/news/2118

 

#LikeAGirl

https://youtu.be/kYoZcGQaEVA

 

 

이러한 전략은 브랜드가 자신들의 메시지를 더 광범위하게 전파하고, 소비자와의 감정적 연결을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감정을 자극하거나, 상식에 반하는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익숙한 요소를 활용하거나, 친숙한 물건으로 복잡한 문제를 단순화하는 것 모두, 사람들이 메시지에 더 깊이 공감하고 관심을 가지게 만듭니다. 이는 결국 더 많은 참여와 지지를 이끌어내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사회공헌 및 소셜 임팩트 캠페인의 성공은 단순히 감동적이거나 창의적인 카피에만 의존하지 않습니다. 중요한 것은 그 메시지가 정확한 타깃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실제 행동으로 이어지게 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선 현대의 다양한 홍보 수단과 플랫폼을 적절히 활용하는 전략이 필수적입니다. 특히 온라인 플랫폼의 발달은 예산이 제한적인 캠페인에도 불구하고, 큰 파급력을 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성공적인 캠페인 사례들은 이러한 점을 잘 보여줍니다. 각 캠페인은 유튜브, 온라인 쇼핑몰,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등 다양한 온라인 채널을 통해 자신들의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며, 타깃층의 참여를 유도했습니다. 이처럼 캠페인의 성공은 단순히 메시지의 힘뿐만 아니라, 그 메시지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전파하고, 타깃층에게 도달시킬 수 있는지에 달려 있습니다.

 

결국, 캠페인의 성공적인 진행을 위해서는 메시지의 내용과 형식을 잘 구성하는 것과 동시에, 그 메시지를 적절하게 전달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전략적 접근은 캠페인의 메시지가 널리 퍼지고, 사회적 변화를 이끌어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플랫폼과 전략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캠페인의 진정한 '적분'이라 할 수 있습니다. 

 

2024.04.15 - [비영리 아카이빙(NPO-Archiving)] - [F2F캠페인 외전] S.M.A.R.T 한 계획을 짜기 위한 수학적 기법 활용 - 상편

 

[F2F캠페인 외전] S.M.A.R.T 한 계획을 짜기 위한 수학적 기법 활용 - 상편

필자는 문과 출신이다. 고등학교 시절, 문과와 이과의 교육과정이 엄격하게 분리되어 있었고, 그 사이에서 미분과 적분은 마치 먼 나라 이야기처럼 느껴졌다. 그러나 내가 졸업한 직후, 교육 체

npo-archiving.tistory.com

 

320x10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