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편에 이어서...
무작정 지하철을 타고 '실로암시각장애인복지관'이란 곳을 찾아갔다. 원래라면 전시관 같은 곳은 예약을 하고 찾아가야 했지만, 그런 절차가 있는지도 모르고 그냥 찾아갔었고, 우연히 어떤 분이 먼저 '절차'대로 예약을 하고 직원의 설명을 들으면서 라운딩을 하고 있었다. 그래서 난 원래 그냥 와도 되는 줄 알고, 같이 설명을 듣고 구경을 했다.
사진은 찍지 못했지만, 내 기억상으로는 점자를 배울 수 있는 전문기구들과 그동안 복지관에서 제작했던 촉각그림들이 있던 것으로 기억했다. 라운딩이 끝나갈 무렵, 직원 분이 어떻게 오셨냐고 물어봤다. 난 3D 프린터로 촉각그림 만들고 싶은데, 복지관에서 이런 전시관과 작품이 있다길래 궁금해서 와봤다라고 답했다.
담당자가 원래는 예약을 하고 와야하는 장소라고 안내를 하면서, 나를 복지관의 3D 프린터 담당자에게 소개를 시켜주었다. 복지관 안에는 대형 프린터 1개, 소형 프린터 1개를 구비해두고, 이를 미술 전공으로 기억하고 있는 담당 선생님이 관리하고 계셨다. 내가 집에서 3D 프린터로 혼자서, 촉각그림을 만드는 것을 도전하고 있고, 관련해서 봉사활동도 하고 싶다고 하니, 시각장애인을 위해서 촉각그림을 만드는 임무(?)를 주셨다.
모델링을 전문적으로 하지 못하기에, 무료 모델링 파일을 다운 받을 수 있는 사이트를 통해서, 매미 유충 모델링을 다운받았다. 그리고 이 모델링을 출력해 보았는데, 몸통 부분은 무리 없이 출력이 되었지만, 가느다란 다리부분은 아무래도 표현에 한계가 있었다. (판에서 뜯다가 부러지기도 하는 등)
벌레 모형 주의
그렇게, 수원에서 서울까지 기차와 빨간광역버스를 타며, 롯데리아 알바와 병행하여 봉사활동을 진행했었다. 큰 사이즈의 출력물도 출력해보기도 하는 등, 다양한 3D 프린팅을 시도해볼 수 있었으나, 아쉽게도 갑자기 취업 비스무리 한 걸(F2F캠페인 아웃소싱의 캠페이너)해버리는 바람에, 오래 지속하지 못하고 그만두고 말았다.
그래도 당시에는 그쪽 취업에 관심이 있었던 터라, 점역사도 따볼까 하고 점자도 공부하기도 했었다.
어찌 되었건, 나의 3D 프린팅 도전기는 갑작스런 직무 전환으로 인해 끝이 나게 되고, F2F캠페이너의 시작을 통해 본격적인 모금 커리어로 진입이 시작되었다.
to be continued...
'사회복지에서 살아남기(Survivng the Social Sector)'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ter 1. 사회복지학과에서 살아남기] 3D 프린터와 촉각그림 - 4 (1) | 2025.03.15 |
---|---|
[Chapter 1. 사회복지학과에서 살아남기] 3D 프린터와 촉각그림 - 3 (0) | 2025.02.22 |
[Chapter 1. 사회복지학과에서 살아남기] 3D 프린터와 촉각그림 - 2 (1) | 2025.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