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전편에 이어서...

 

무작정 지하철을 타고 '실로암시각장애인복지관'이란 곳을 찾아갔다. 원래라면 전시관 같은 곳은 예약을 하고 찾아가야 했지만, 그런 절차가 있는지도 모르고 그냥 찾아갔었고, 우연히 어떤 분이 먼저 '절차'대로 예약을 하고 직원의 설명을 들으면서 라운딩을 하고 있었다. 그래서 난 원래 그냥 와도 되는 줄 알고, 같이 설명을 듣고 구경을 했다. 

 

사진은 찍지 못했지만, 내 기억상으로는 점자를 배울 수 있는 전문기구들과 그동안 복지관에서 제작했던 촉각그림들이 있던 것으로 기억했다. 라운딩이 끝나갈 무렵, 직원 분이 어떻게 오셨냐고 물어봤다. 난 3D 프린터로 촉각그림 만들고 싶은데, 복지관에서 이런 전시관과 작품이 있다길래 궁금해서 와봤다라고 답했다.

 

담당자가 원래는 예약을 하고 와야하는 장소라고 안내를 하면서, 나를 복지관의 3D 프린터 담당자에게 소개를 시켜주었다. 복지관 안에는 대형 프린터 1개, 소형 프린터 1개를 구비해두고, 이를 미술 전공으로 기억하고 있는 담당 선생님이 관리하고 계셨다. 내가 집에서 3D 프린터로 혼자서, 촉각그림을 만드는 것을 도전하고 있고, 관련해서 봉사활동도 하고 싶다고 하니, 시각장애인을 위해서 촉각그림을 만드는 임무(?)를 주셨다. 

 

복지관 내 3D 프린터 3개
대형 3D 프린터로 출력 밑그림

 

모델링을 전문적으로 하지 못하기에, 무료 모델링 파일을 다운 받을 수 있는 사이트를 통해서, 매미 유충 모델링을 다운받았다. 그리고 이 모델링을 출력해 보았는데, 몸통 부분은 무리 없이 출력이 되었지만, 가느다란 다리부분은 아무래도 표현에 한계가 있었다. (판에서 뜯다가 부러지기도 하는 등)

 

벌레 모형 주의

 

반으로 출력한 매미 출력물 결합반으로 출력한 매미 출력물 결합
대형 프린터로 출력한 매미 모델링대형 프린터로 출력한 매미 모델링
작은 프린터로 출력한 매미 모델링작은 프린터로 출력한 매미 모델링
작은 프린터로 출력한 매미 애벌레 모델링작은 프린터로 출력한 매미 모델링

 

그렇게, 수원에서 서울까지 기차와 빨간광역버스를 타며, 롯데리아 알바와 병행하여 봉사활동을 진행했었다. 큰 사이즈의 출력물도 출력해보기도 하는 등, 다양한 3D 프린팅을 시도해볼 수 있었으나, 아쉽게도 갑자기 취업 비스무리 한 걸(F2F캠페인 아웃소싱의 캠페이너)해버리는 바람에, 오래 지속하지 못하고 그만두고 말았다. 

 

그래도 당시에는 그쪽 취업에 관심이 있었던 터라, 점역사도 따볼까 하고 점자도 공부하기도 했었다. 

 

어찌 되었건, 나의 3D 프린팅 도전기는 갑작스런 직무 전환으로 인해 끝이 나게 되고, F2F캠페이너의 시작을 통해 본격적인 모금 커리어로 진입이 시작되었다.

 

to be continued...

320x100
320x100

전편에 이어서

 

3D 프린터 촉각그림을 만드는 마지막 도전 방식을 서술하기에 앞서, 2번째 방법이었던 질감 부여 방식은 다른 작품을 만드는데 도움이 되었다. 지금은 정확히 기능 명칭이 기억나지 않지만, 3D Max 기능 중에 Extrude처럼 수직으로 튀어나오는 게 아니라 모래쌓는 것처럼 올라오게 만드는 기능이 있다. 찰흙덩이 위에 찰흙을 조금씩 덧붙이는 것 같은 기능이다. 

 

수묵화의 산을 따라서 만든 모델링
민화에 나오는 여인의 뒷모습 모델링민화에 나오는 여인의 옆모습 모델링

 

Extrude가 선을 따는데 적확한 기능이라면, 그 기능은 옷이나 신체 같이 굴곡이 있는 부분을 표현하기에는 이 기능이 더 유용했던 기능이라고 판단했다. 튀어나오게 하는 범위와 크기를 자유롭게 그림 그리듯 표현할 수 있는 장점도 있었다. 물론 너무 과도한 굴곡 표현으로 그리드가 많아지면, 당시 내 똥컴으로는 못버티고 멈추거나 튕기기도 해서, 생전 처음으로 램을 추가로 사서 끼우기도 했다.(4기가에서 8기가로 업그레이드) 다행히 램 업그레이드로 컴이 어느정도 버텨주자, 우선 그림에 나오는 여성 등장인물 하나를, 그 기능을 사용해서 모델링하고 출력까지 해보았다.

 

출력에 실패한 프린팅

 

처음에는 무슨 수건처럼 면이 다채워지지도 않게 출력되기도 하는 등 실패를 좀 했었다. 아마 위로 굴곡을 올리면서, 등고선 같은 경계면이 제대로 인식이 안되었거나, 내가 가지고 있던 3D 프린터가 싸구려이거나, 그랬을 것이다.(당시 내가 산 프린터는 초보자용)

작은 사이즈 출력에 성공한 모델링

 

그러다 어찌어찌 귀여운 사이즈로 나름 만족스러운 출력물을 얻을 수 있었다.(다음 편에서 쓰겠지만, 시각장애인복지관에 있던 3D 프린터로 출력한 버전이다) 그래서 다른 모델로도 출력을 해보기도 했다.(나루토 관련 이미지 검색해서 그나마 귀여운 걸로다가)

나루토 SD버전 모델링 출력물

 

 

그래서 이렇게 혼자서 고군분투하며 3D 프린팅을 연습하고 있을때, 우연히 인터넷 뉴스를 통해 한 기사를 접하게 된다. 실로암시각장애인복지관에서 3D 프린터를 활용한 촉각그림, 촉각교구재를 만들고 있고, 관련 전시관이 있다는 것을. 지금에서야 무슨 생각인지 모르겠지만, 무작정 찾아갔다. 예약도 없이...

 

to be continude...

320x100
320x100

전편에 이어서

 

촉각그림 제작을 위해서 프린터를 샀으나, 정작 모델링을 할 줄 모르니, 무용지물이라서 수원역에 있는 컴퓨터 학원을 등록했다. 그리고 매탄권선역에서 수원역까지 자전거를 타고 학원에 왔다갔다 했다. 난 바로 모델링을 배우고 싶었으나, 커리큘럼상 포토샵을 먼저 배워야한다고 해서 어쩔 수 없이 포토샵을 먼저 배울 수 밖에 없었다. 

 

포토샵을 어찌저찌 배우고 나서, 모델링 수업으로 넘어갔고, 거기서는 3D Max 프로그램을 활용해서 모델링을 배우는 커리큘럼이었다. 수강생 대부분이 건축 조감도를 만드는 쪽의 진로가 있었는지, 수업의 방향성이 대부분 그쪽으로 있었다.(설계도면 따라서 그리기, 빛 광원 넣기 등등) 나는 그쪽까지는 배울 필요가 없어서, 기초적인 조작법과 기능 등을 익히고, 가장 필요했던 '라인 따라 그리기'를 배우고 나서는 학원에 가지 않았다.(물론 집과 학원까지 자전거를 타고 왔다갔다 하는게 힘들기도 했다.)

 

기본 도형만 가지고 만들어본 모델링기본 도형만 가지고 만들어본 모델링
기본 도형만 가지고 만들어본 모델링

 

 

기본 도형만 가지고 만들어본 모델링
기본 도형만 가지고 만들어본 모델링

 

 

바로 집에서 3D Max 프로그램을 띄우고, '비너스의 탄생'을 만들기 위해, 비너스가 밟고 있는 조개 껍데기 라인을 따고 깨달았다. '내가 배운것으로는 평면을 튀어나오는 것만 가능'하다는 것을. 3D 피규어처럼 입체감 있는 부분을 만드는 것은 할 수 없다는 것을. 그래서 우선 전략을 바꿔서 평면 그림을 동전처럼 색이 있는 부분만 튀어나오게 하는 작품을 먼저 만들어보기로 했다.

 

그래서 처음 도전했던 작품이 전통 한국화인 '고사관수도'였다. 굳이 콕 찝어서 '고사관수도' 작품을 픽한 이유는, 군대에서 야간연등으로 한국사자격시험을 준비 할 때, 문제집에서 본 그림이었기 때문이다. 그냥 그 그림이 계속 기억에 남았었다.

 

고사관수도
고사관수도

 

세세한 라인을 따지 않아도 되었다보니 쉬이 초기 스케치를 딸 수 있었고, Extrude 기능을 이용해서 적당한 깊이감이 느껴지도록 튀어나오게 만들었다. 그렇게 첫 모델링 파일을 만들었으나, 이걸 3D 프린터로 출력하기 위해서는 한번 출력용 파일로 전환을 해줘야 했다. 3D 프린터는 한층한층 쌓아올리기 때문에, 입체감 있는 물체에 층을 내고, 지지대를 자동으로 만드는 슬라이스 과정을 거쳐야 한다. 처음에는 할 수 있는 방법을 몰라서 전문업체에 모델링 파일을 주고, 돈을 주고 출력까지 의뢰를 맡겼었다. 

 

모델링 배경으로 띄운 고사관수도모델링 화면

 

 

모델링 작품과 점자설명

 

 

업체와 한두번의 메일 소통 후에 받게 된 3D 프린팅 작품

 

메일로 받은 슬라이서 버전 모델링모델링 슬라이서

 

너무 흰색이라 원래 그림에서 묵으로 칠해진 부분을 유성매직으로 다시 검게 칠하니 훨씬 눈에 보기 편했다. 금액상 너무 크게 만들 수가 없어서 정작 손끝만으로 그림을 느끼는 것은 불가능.

 

최종 출력물최종 출력물

 

 

실제 작품과 비교
지금보니 진짜 옛날 컴

 

하지만 처음으로 내가 하고 싶은 무언가에 도전하고 어설프지만 그 결과물을 손에 쥐는 경험은 잊을 수가 없었다. 오히려 부족한 점을 해결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찾게 되고, 도전의식이 생긴다고 할까.

 

결국 처음 만든 고사관수도 작품은 옷장 위에 잘 올려두고, 다음 전략으로는 촉각그림 안에 질감을 넣어보기로 했다.

 

to be continued...

320x100

+ Recent posts